IB TOK Exhibition 작성법 | 국제학교 학생이 꼭 알아야 할 준비 가이드 > 자유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

자유게시판 코닷싱 자유게시판입니다. 목록

학부모 | IB TOK Exhibition 작성법 | 국제학교 학생이 꼭 알아야 할 준비 가이드

  • 분류  학부모
  • 항목  정보
  • 작성자   파레토프렙IB
  • 작성일25-10-02 13:08
  • 조회  16
  • 댓글  0

본문

IB TOK Exhibition, 구체적으로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파레토프렙 IB센터 강사 Nancy입니다.

이전 편에서 언급했듯이 IB TOK는 시사를 통해 지식이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을 요구합니다.

학생이 object나 question을 통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주체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지가 포인트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구체적으로 실제 TOK Exhibition을 어떻게 작성해 나가는지,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국제학교 학생들이 실제 IB 수업 과정에서 특히 많이 어려워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Objects 와 Prompt 고르기

Exhibition은 학생이 원하는 object 3개를 자유롭게 고르고, object를 통해 prompt에 대한 답변을 하게 됩니다.

Prompt는 knowledge, 즉 “지식”에 대한 질문으로, 35개로 정해져 있습니다.

좋은 object를 고르면 좋은 글이 나오겠죠.

지도 경험상 실제로 학생이 평소에 관심 있어 하고 심도 있게 생각해봤던 주제로 고를 때 가장 좋은 글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Prompt 예시:

    • “What counts as good evidence for a claim?”

    • “How can we distinguish between knowledge, belief and opinion?”

Objects 예시:

    • 신문 기사

    • 사진 한 장

    • 역사적 유물

    • 개인이 작성한 일기

    • 잡지 내용

*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 object와 prompt 연결하기


Exhibition 구조

Object는 서로 연관성이 없어도 괜찮습니다.

Object를 하나 골랐다면, 아래와 같이 paragraph structuring을 진행합니다.

    • Paragraph 1: object에 대한 간략한 소개

    • Paragraph 2: 이 object가 prompt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 Paragraph 3: object가 prompt를 답변하는 데 있는 한계점, 현대 real world와의 연관성, 지식에 대한 통합적 고찰


Object를 claim과 연결하기 실제 예시

e.g. prompt: What counts as good evidence for a claim?

  • Object: A scientific paper, “Pfizer-BioNTech COVID-19 vaccine RCT”

    • 논리: 실험과 통계가 객관적 증거로서의 가치

    • 결론: COVID19 백신은 효과적이라는 claim에 대한 evidence 제공 → 글로벌 확산 억제에 기여

    • 한계점: 새로운 바이러스 변이로 outdated 정보가 되어버림

  • Object: 일기 “Anne Frank’s Diary”

    • 논리: 당시 감정과 사건 기록 → 개인적 경험이 기록되어 있어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줌

    • 결론: 전쟁의 어둠을 1인칭 시점으로 표현 → 전쟁의 어둠에 대한 evidence 제공, 세계적으로 역사적 참혹함 알림

    • 한계점: 주관성, 개인 bias 등

이와 같이 object를 이용해 prompt에 대한 답변을 하는 과정이 얼마나 논리적이고 독창적인지에 대해 점수가 들어갑니다.


파레토프렙 TOK 수업 방식

대다수의 학생이 졸업하기까지 TOK가 바라는 바와 의미하는 바를 모르고 졸업합니다.

파레토프렙 IB 센터에서는 학생의 준비 단계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1. Exhibition을 아직 시작하지 않은 경우

    • 학생의 관심분야 파악, 주제 선정

    •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해봤으니 좋은 글이 잘 나옵니다. 첫 수업에서 학생의 관심도 파악을 통해 Essay의 골격을 만들어 나갑니다.

2. Title만 정한 경우

    • 논리적인 글 작성을 위해 key term 정의를 잡고, 예시와 함께 계획

    • 논리적 글쓰기는 planning이 핵심입니다. 본격적인 글쓰기에 앞서, 논리가 빈틈없고, 충분히 심도 있게 주제에 대해 생각해보았다는 것을 티 내야 합니다.

3. 어느 정도 초안이 완성된 경우

    • object → prompt 연결성 확인

    • 많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 바로 “구체화”입니다. 예시는 specific하지만 real world에서도 generalization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골라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두루뭉실한 글이 되지 않도록 첨삭을 많이 진행하게 됩니다.


마무리

IB TOK는 단순히 IB 졸업 요건일 뿐 아니라, 학생이 대학에서 교양 에세이를 작성하거나 학문적 글쓰기를 이어가는 데 있어 중요한 훈련이 됩니다.

Exhibition의 경우 prompt와 object 선정부터 점수가 갈리니, 국제학교 학생들은 처음부터 면밀한 계획 하에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acebook kakaostory band Copy URL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